[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case of the Gulf War and the military operations in Afghanistan. The result shows that the US military interventions were mainly geared to exercise its own leadership in an international setting, to disrupt the balance of regional power, or to counter against direct challenges that intimately involve security or critical interests of the US. Especially since the 9.11 terrorist...
[학위논문] 남북합의 지속성 저해요인 연구
...KoreaUS Joint Military Exercise, ‘Team Spirit’ and ‘modernization of the ROK Army’ commenced by receiving economic support from US to fill up the security gap arising from the withdrawal of US Forces As such, South Korea took measures to reinforce the nation’s military strength or to weaken the military security interests of the other party as part of the initiative...
[학위논문] 통일 이후 안정적 국가통합을 위한 북한군 수용문제에 대한 연구
...China Japan is promoting the exercise of collective self defense on the grounds of their security environment, and they are receiving suspicious and wary look from neighboring countries by legalizing it in Sep 2015 China has been continuously reinforcing their military establishment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of Chinese military forces since 1988, reduced 8 military districts and established rapid...
[학위논문] 작전 통제권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 과정과 배경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군의 1970년대 후반 작전통제권이 유엔군 사령관에서 한미연합사령관으로 이양된 박정희 대통령 통치 시기부터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조건’이 충족 되리라고 판단되는 문재인 대통령 통치 시기인 2022년대 전반기로 기간적 범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결정은 한미 간의 상호 합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국의 한반도 안보전략과 이해관계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의 전략적 이익이 감소할 경우 주한미군 병력유지에 따르는 비용과 책임부담을 줄이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