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統一韓國의 權力構造에 관한 硏究
...recommended to introduce for the fostering and selection of lawyers. Experts in the respective sectors should be fostered to select excellent manpower among them according to a given standard. The current system of pseudo legal profession of the South should be improved to establish a unified judiciary system in unified Korea.
Although each of all power structures has strong points in its...
[학위논문] 統治理念과 文化遺産政策의 變動에 관한 硏究 : 中國과 北韓을 中心으로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 North Korea is not systematically prepared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for registr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For this reason, when China registered the 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of China, North Korea, unequipped with an internal legal system to handle such matter, could not raise...
[학위논문]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사회화 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힘을 실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도주의 중심의 북한 개발협력 사업이 국제사회가 오랜 기간 구축해온 개발협력 규범에 부합하게 진행되어 왔는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북한은 만성적인 빈곤이 답습되는 ‘취약국가’임과 동시에, 핵 개발 등 국제사회가 합의하는 ‘문명 표준’(standard of civilization)에 대하여 일탈을 야기하는 ‘불량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정은 이처럼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갖고 있는 이중적 인식은 대북 경제적 제재 뿐 아니라, 개발협력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할 때에도 계도의 목적이 반영된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 기초하게 된다는 것이다.
...
[학위논문]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경험과 통일 후 북한 불법청산에 활용가능성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의 경험을 통일 후 북한의 불법청산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검토하여 통일한국의 미래지향적 국가질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헌법이 수호하고자 하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국제인권법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국가불법을 “국가에 의한 헌법이 수호하고자 하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한 전면적 부정이나 중대한 침해행위 또는 국가에 의한 집단살해죄, 반인도적 범죄, 전쟁범죄, 침략범죄 등 국제법상의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국가불법청산이란 위에서 언급한 국가불법에 해당하는 행위를 청산함으로써 왜곡되거나 은폐된 진실을 밝히고, 과거와의 화해를 통해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불법청산 유형은 처벌모델
#박범영 #불법청산 #북한의 불법청산 #통일 #과거사청산 #청산인정기준 #청산방식 #개별적 과거사청산 #포괄적 과거사청산 #청산대상 #청산범위 #국가불법 #청산주체 #진실화해모델 #배보상모델 #신원모델 #처벌모델 #혼합모델 #망각모델 #세계의 과거사청산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 #남미의 과거사청산 #독일의 과거사청산 #남아공의 과거사청산 #진화위 #민보상위 #의문사위 #state illegality #past liquidations #comprehensive past liquidation law #individual past liquidation law #Liquidation of state illegality #the criteria for recognition of liquidation #North Korea’s illegal liquidations #punishment
[학술논문] CISG 체약국으로서 북한 무역 유관법률의 주요 내용과 평가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legal standards for North Korean Trade-Related Law in order to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to enhance the appropriate utiliz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uses literature research on North Korean Laws. Findings – The legal standards for the responsibility of contracting parties under North Korean laws w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