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갑자기 우크라에 패트리엇 시스템 2~3기 추가 지원
미국은 이스라엘과 독일, 그리스에 배치된 지대공(地對空) 패트리엇(Patriot) 시스템 2~3기(포대ㆍbattery)를 우크라이나에 보내기로 하고, 관련국들과 협의 중이라고 뉴욕타임스가 4명의 미 국방부 전현직 관리들을 인용해 4일 보도했다.
[뉴스] Russian strikes on Ukraine kill at least 23 as Polish prime minister warns against appeasing ‘barbarians’
Russian missiles killed at least 23 people in a second night of heavy strikes on Ukraine, a stark toll the Polish Prime Minister described as the result of appeasing “barbarians.”
[뉴스] Russian forces walked inside a gas pipeline to strike Ukrainian troops from the rear in Kursk
Russian special forces walked inside a gas pipeline to strike Ukrainian units from the rear in the Kursk region, Ukraine’s military and Russian war bloggers reported, as Moscow claimed fresh gains in its push to recapture parts of the border province that Kyiv seized in a shock offensive.
[뉴스] Inside the operations that took captive 2 North Korean soldiers fighting Ukraine
KYIV, Ukraine (AP) — When Ukrainian soldiers captured two North Korean prisoners of war last month, it provided the first undeniable proof of Pyongyang’s direct involvement in the war against Ukraine.
[뉴스] 1060 Days of russia-Ukraine War – russian Casualties In Ukraine
The russians are facing non-stop military losses on Ukrainian soil. About 817,160 aggressor’s troops were eliminated, 26,328 air targets of invaders were shot down, thousands of tanks, armored vehicles and trucks were destroyed by the defenders of Ukraine
[정치/군사]
...일본이나 괌으로 재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고서 작성자 중 한 명은 2월 25일 Foreign Affairs에 기고한 논문인 “대만 집착: 미국의 전략은 이길 수 없는 전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The Taiwan Fixation: American Strategy Shouldn’t Hinge on an Unwinable War)”에서 제2의 애치슨 라인을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미국이 북한과의 핵전쟁을 피하거나 대만 및 한국 방어에 주저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commitment)을 믿어도 될까?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연기만으로 충분할까?
독자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총서 시리즈 제1권 『한국의 핵안보...
[정치/군사]
한국전쟁이 동북아시아 지역 사회와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조명한 Korean war in Asia: A Hidden History(2018)를 번역 소개하는 책이다. 호주국립대학 테사 모리스-스즈키 교수의 주도하에 집필된 이 책은 한국전쟁을 단순히 한반도 내전이나 미소 냉전의 대리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 걸친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국제전으로 해석한다. 한국전쟁이 아시아태평양전쟁, 중국 내전 등의 이 지역 다른 분쟁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제시하고, 전쟁이 주변국에 미친 영향력을 다각도에서 조명한다. 지난 75년간 우리에게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각인되어 있던 6ㆍ25전쟁을 동아시아 지역의 관점에서 ‘잊혀진 전쟁’, ‘잘못 기억된 전쟁’으로...
[정치/군사]
...대화와 협상, 중재 등의 형태로 발현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 저서는 인류가 끊임없이 전쟁을 하면서도 대화를 해온 역사를 쉬운 문체로 서술한다. 충돌 직전 전쟁을 막은 외교, 교전 중 대화를 통해 전쟁을 중단시킨 외교의 사례를 확인해 생동감 있게 서술했다. 전쟁을 오히려 키운 외교도 있고, 전쟁을 불러온 외교도 많은데, 그런 사례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체로 전쟁과 외교의 관계를 설명해, 토마스 홉스가 말하는 ‘전쟁의 상태’(state of war. 갈등 지속의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 사는 한국인들이 외교와 대화의 힘과 능력, 그리고 그 필요성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고자 한다.
[정치/군사]
...법리검토팀, 홍보, 교육, 청중조직, 운영 팀으로 구성되어 현재 뉴욕 민중법정을 준비하고 있다. 국제파트너단체로 국제반핵법률가협회(IALANA), 국제화해위원회(IFOR), 일본반핵법률가협회(JALANA), '죽음의 상인 전쟁범죄' 민중법정추진위원회(Merchant of Death War Crimes Tribunal), 평화재향군인회(Veterans For Peace), World BEYOND War, Peace Action 등 30개가 넘는 단체들이 함께하고 있다.
강우일 주교는 인사말에서 “오늘날 동북아는 국제정치적 갈등과 마찰로 무력충돌의 위기가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며 “동북아에 무력충돌이 발생한다면 지구 전체에 상상을 초월하는...
[법/인권]
...style="color:#80888a">
I was born in 1991, but the course of my life was determined in 1953, near the end of the Korean War. My grandfather, a South Korean soldier, was captured by North Korean forces. He endured imprisonment, beatings, and torture, and after his release, he was forced to labor in a coal mine.
[학술논문] 박근혜정부의 대중국정책과 한중관계의 과제
...creating a G2 relationship wher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ould work out solutions to global problems together. One possible reason for the G-2 to possibly be created is to prevent another Cold War. The informal G2 has been considered as helpful in finding solutions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nuclear disarmament, etc. Nuclear...
[학술논문] 전화황(全和凰)의 생애와 예술 ─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의식의 조형화
...based. After the war when the Korean-Japanese painters who studied in Japan returned to South and North Korea to build new generation of art systems according to their state policies, the Korean-Japanese who remained in Japan were the only ones who were able to observe with the critical bitterness the scars of Korean people through the prewar colonization to the postwar Korean war which led to the...
[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대한 비교ㆍ분석-군사학과 설치 대학과 미설치 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일반대학에서 군사학과 설치 학교의 대학생들과 미설치 학교의 학생들의 안보의식을 비교분석하여 안보전략과 안보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을 조사한 결과,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지역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재 우리나라 안보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적으로 낮게 나타나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북한의 도발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높게 인식(평균 4.33점)하였다. 군사학과 설치 여부와 군사학과 개설에 따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수준(3.44점)으로 조사되었고, 지역, 성별, 병역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군사학과 운용 인지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군사학과 학생들의 학습내용, 혜택과 향후 진로
[학술논문] What Does North Korea Want from China? Understanding Pyongyang’s Policy Priorities toward Beijing
What influences the role domestic policy priorities and ideology play in NorthKorea’s enactment of foreign policy toward China? Historically, both NorthKorea and China are communist nations that share cultural characteristics. Currently, the Sino-North Korea alliance still seems effective and valid. Whenlooking at China, North Korea does not perceive any struggle with regard tosecurity and regime
[학술논문] 한국근대화와 自助精神 ― 남한의 새마을정신과 북한 자력갱생론의 연원―
...since the late 1950s. Specifically, I tryto relate the ideology of ‘self-help’ with the discourse on ‘self-help’(自力更生論)of colonial Korea in the 1930’s. After the World WarⅡ, Korea was divided in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in 1948. Even though each country has had different ideologies as a system ofgovernment, a ruling ideology of Park Jung-hee(朴正熙, 1917∼1979)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