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한국인의 대북 심리 인식, 정서, 이미지, 그리고 그 근원
...미국인들의 대(對)소련 인식은 ‘공포’와 ‘경멸’(contempt)을 담고 있었다.1 구(舊)소련 해체와 이어진 시장화 조류, 그리고 1980년대 후반을 특징지었던 동유럽권의 자유화·민주화 저변에는 이러한 존경이 자리잡고 있었을 수 있다. 이처럼 한 국가의 다른 국가에 대한 태도(
attitude)나 행태(behavior), 그리고 정책에는 상대편 국가에 대한 인식(perception)이나 정서(emotion)가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에 어떤 국가가 특정 국가를 적대시한다고 하더라도 그 배경에는 두려움(fear), 증오(anger), 짜증(irritation) 등 다양한 심리가 존재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정서나 심리가 상대 국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