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동하는 텍스트(fluid text)와 북한 재현 양상-반디의 『고발』과 데보라 스미스(Deborah Smith)의번역 The Accusation을 중심으로
...조선작가동맹 소속 재북 작가 반디의 『
고발』의 세 판본을 대상으로, 텍스트가 흘러가는 궤적을 쫓으며 (재)생산하는 북한 재현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였다. 『
고발』은 국가, 언어, 담론을 횡단하며 흐르는 텍스트이고, 텍스트가 놓이는 환경에 따라다른 의미를 생산하기도 하고, 그 환경에 의해 텍스트가 변화하기도 하였다. 최초 출간본인 조갑제닷컴 판본의 경우, 『
고발』은 반공서사로 해석되었다. 조갑제닷컴 판본의 『
고발』은 ‘액자소설’에 비유할 수 있을 만큼 ‘외화(발간사, 비화, 해설 등)–내화(소설)’의 형식으로 만들어졌고, 텍스트 바깥에서는 ‘텍스트의 탈북기’와 반공이데올로기가 반복되었다. 한편, 『
고발』은 20여개의 언어권으로 번역되어 나갔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