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집권기 북한의 대외정책과경제정책의 상관관계
...정책을 도입했다. 소비재 생산의 자율성과 경영권을 보장했고, 소비재 시장을 합법화해서 유통체계를 개혁했고, 국영상점과 소비재 시장의 벽을 허물었다.2019년 2월 하노이 회담의 결렬로 협상국면은 실패했고, 협상국면이 시작할 때 제시한
경제건설 총집중노선에 담긴 의도는 현실화하지 않았다. 투자의 우선순위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제재 완화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북·중 경제 관계도 2017년의 포괄적 제재 상황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런 측면에서 2018년
경제건설 집중노선은 ‘새로운 노선’이라는 공식 담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달라진 것은 없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북한의 국내경제 정책은 김정은 집권 시기의 특징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계획 능력을 강화하면서 소비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