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본격적 옛이야기집 『우리 나라 옛’이야기』(1958)의 원전 탐색과 다시쓰기
...옛’이야기』(1958)의 원전을 탐색하였다. 주요 선행 동화집과 대조하여 그 대응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1958년판이 선행 동화집 중에서 박영만 동화집을 다수 참고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920년대 이후에 간행된 다나카, 나카무라, 심의린, 박영만 동화집과 『우리 나라 옛’이야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학대받는
결핍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심의린의 외쪽의 꾀와 박영만의 자글대 이야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 나라 옛’이야기』가 자글대 이야기의 영향을 받았음을 명확히 하였다. 『우리 나라 옛’이야기』는 자글대 이야기의 후반부를 참고했지만, 등장인물 자글대가 돌쇠가 되고, ‘좌수 영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