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현웅의 『조선 미술 이야기』 연구
...고미술이 일본과 미국 제국주의자들에의해 파괴, 수탈되고, 왜곡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둘째는 ‘인민’들이 민족문화유산의귀중함을 인식하지 못한 무지함에 대한 계몽적 성격을 띠고 쓰여 졌다. 그가 1953년부터
고구려
고분
벽화의 모사작업에 헌신하면서 한국 고미술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인식하고, 서양화가(西洋畫家)로부터조선화가(朝鮮畫家)로 전향을 하게 된 것은 이 책을 쓰게 된 중요한 동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현웅이 안악3호분의
고분
벽화 모사작업부터 『조선 미술 이야기』의 간행 배경에는 무엇보다 해방후 혼돈기부터 북한의 체제 정립과정의 시대적 상황이 있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셋째는 ‘인민’에게 과거의 우수한 전통과 문화와 풍습을 바르게 알게 하여, 결과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