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조하면서 대북 압박정책과 북한 체제의 위협에 따른 안보 의식을 강조하는 등 통일교육의 내용은 일관된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고, 실질적 통합력을 저해했으며, 통일의 당위성은 설득력이 약해졌고,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 통일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성은 증대했다. 그간 통일교육을 위한
교안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포괄하는 개론적 수준에서 구성돼왔고 대학의 전공 분야별 세분화·전문화된 통일
교안 연구와 개발이 필요해졌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을 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통일 커뮤니케이션을 ‘남북의 대결과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바람직한 한반도의 미래상을 함께 설계하고 만들어가기 위한 전략적 메시지 구성과 전달, 이해와 공유의 과정’으로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