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부문에서의 대중운동
...이 과정에서 지역 간, 학교 간 교육격차가 더욱 커져 교육의 불균등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불균형을 정부가 제대로 해소해주지 못할경우 인민들의 불만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교육 사업에 대한 운영과 책임이 상당 부분 지방과 각급 교육기관으로 이관되면서 향후 교육부문에 있어서 국가와 당 이외의 교육주체들이 가지는 역할과 권한이강화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고 있다. 앞으로 국가와 당은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생, 학부모,
교원, 지역사회를 포함한 교육주체들의 요구에 이전보다 더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향후 초보적인 형태로나마 교육의 지방분권화와 사적 자율성 확대를 위한 여건의 조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