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통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선정하여 기존의 주입식 학습에서 벗어나 적절한 교수학습법에 대한 탐구, 학교 통일교육의 목표와 원칙, 방향에 부합하는 내용 제공에 대한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전 학교로 확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방식과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학교 통일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통일교육 연구학교의
교육
내용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통일교육 연구학교 총47개교를 대상으로 통일
교육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초등학교는 프로그램, 환경조성, 체험, 교육과정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는 통일의식, 프로그램, 환경조성, 지역사회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는 참여, 네트워크, 통일의식, 체험활동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