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확장억제와 한국의 핵무장 담론: 이중억제와 동맹딜레마의 관점에서의 고찰
...확장억제 정책의 변화와 이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대응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핵무장 동인은 북한의 위협 자체보다는 미국의 안보공약에 대한 신뢰와 더큰 연관성이 있으며, 확장억제 ‘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능력보다는 의지가 핵심 변수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의 확장억제는 안보
딜레마와 동맹
딜레마라는
구조적 제약 속에서 한미 간 전략적 조율을 어렵게 만든다. 이로 인해 북한의 위협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확장억제의 신뢰성은약화되고, 이에 자주성과 자율성을 확대하려는 민족주의적 정서가 결합되어 한국 내 독자적 핵무장에 대한 요구가 고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면, 한반도의 미래핵지형은 비핵화로의 회귀나 핵비대칭 구조의 지속보다는, 남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