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북한지역 사회기반시설의 신축, 시설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발전기에는 지역과 세대의 화합을 위한 디자인정책 방향이 제안되었다. 교육측면에서는 북한의 주체미술론 교육의 이질성 극복과 통일과정에서 발생될 남북 디자인교육자, 전문가, 전문기업들에 대한 자격 기준에 남북 합의과정이 필요할 것 예측되었다. 산업측면에서는
국제
기준에 따른 남북 표준 산업분류체계, 규격 및 색채의 표준 표기, 디자인통계 구축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남북한 통일과정의 순서대로 연구를 요약하면, 디자인정책 방향은 민간 교류협력 추진과 민족성 회복을 위한 상징매체 검토, 남북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디자인 등이 전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한 디자인 교육기관과 관련 공공기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