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일성 시대 사회 통제: 탈북자 증언을 중심으로
...“수령론”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수령론”과 “당 중앙 영도론”의 본질적 차이는 후계 문제, 즉 권력 세습 여부이다. 권력집중의 직위적 보장(당 중앙)이 개인적 수준으로특정되고(스탈린주의), 다시 세습(수령론)으로 권력 집중이 강화되었다. 김일성 시대 사회 통제(당원 통제를 포함하여)의 특징은 본인의
권력
강화와 권력 세습 및후계 권력 사수, 이상 3자의 공고화에 집중되어 있다. 이 시기 사회 통제의 핵심은 헌법보다 상위의 당 규약, 그리고 그보다 최상위 규약인, “10대 원칙”에 명문화 되어 있다. 김일성 말기부터, 인민 및 당원에 대한 보상적 기능이 축소되면서, 권력의 통제력 약화 현상을 처벌과 선전선동사업 강화, 그리고 외부와의 위기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