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핵평화 프로세스와 대북 관여정책의 지속성 : 이론과 정책
...목적의 핵개발이라는 북한의 논리를 일단 수용한다면, 비핵화 과정은 경제지원(제재해제) 차원보다 더 광범위한 생존(안보) 회복의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대북 억지력 유지를 목표로 삼고 있는 한미동맹은 북한의 핵개발이 본격화된 시점 이후, 혹은 1차 핵실험이 있었던 시점을 억지력의 실패로 간주하고 ‘억지’의 논리에서 ‘강요’의 논리로 전환하여 북한의 행동을 되돌려야 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그러지 못했다. 향후 억지의 실패가 강요로전환되지 못하는 한반도 안보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관여주의를 적극 실행하되 과거처럼 북한의 정치적 변화를 전제로 하는 기능주의가 아니라 변화의 목표를 핵을 대신하는 생존의 방식, 평화와 공존 등을 목표로 삼아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