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반공주의에 끼친 영향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냈다. 전쟁은 반공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위상 격상, 반공주의의
담론적 집중성 제고, 반공주의의 종교성 강화, 순교 및 성모
담론과의 결합을 통한 감정동원 및 행위 동기화 능력 제고 등을 수반했다. 전쟁 후 천주교 반공주의에서 발생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반공주의 종교화’ 과정의 전면화와 가속화였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기억과 재현 방식에서 비교적 명확히 확인된다. 교리와 신념체계(해방 이전), 순교·성모신심운동(해방 후 전쟁 이전)에 그쳤던 반공주의의 종교화는 전쟁 후 교회조직(망명교구 설정, 교회분단 제도화 및 북한교회 소멸 공식화), 공식
기억(교회사 편찬, 수난자 전기 편찬), 의례(침묵의 교회를 위한 기도의 날, 현충일 추도미사), 순교신심운동(한국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