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동반과 화합을 위한 통일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담론 모색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담론은 그에 미흡하며, 그것은 구세대의
통일 및 북한 관련 의식과 새로 형성된 의식이 교육 내용과 원칙에 모순되게끔 배열, 교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효과적
통일 담론은 승공
통일론, 통일부담론, 통일
대박론 등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각 합목적적 부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비효과성을 지닌다. 이에 대안적
통일 담론의 형성을 위하여 화해, 조화, 공화라는 관념을 중심으로 하는 ‘삼화(三和)의
통일담론’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