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대북방송의 정체성 변화와 프로그램 편성 연구
...심리전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대폭적인 프로그램 개편이 있었다. 한편 공산권의 경제난이 가시화되자 1978년 등소평의 개방 정책과 1980년 폴란드 사태 등을 전달하며, 개혁개방을 촉구하는 프로그램이 등장한다. 폐쇄사회인 북한의 개방은 그 당시 대북방송의 중장기 목표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1983년 미얀마 암살 폭발 사건, 1987년 KAL기 폭발사건 등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던 시기였으므로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을 안전하게 치르기 위해서도 북한을 개방으로의 유도는 필요했다. 데탕트기의 대북방송은 ‘자유의 소리, 민족의 소리, 안보방송’이었다.#xD;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독일이 통일되는 탈냉전기인 1990년대, 남북 기본합의서가 체결되고, 한중 수교로 통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