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아스포라의 자아인식과 글쓰기 -중국조선족 작가 김용식, 허련순, 금희를 중심으로-
...중국 조선족의 상상력으로 재해석하였는데, 나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허련순은 조선족의
정체성을 다룬 세 편의 장편소설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두 세계의 만남, 파탄과 비극, 갈등과 화해를 그리고 있다. 결국 자신의 고통을 객관화하고 타자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자기 자신, 그리고 두 세계를 화해로 이끄는 길임을 제시하고 있다. 금화는 한국 북한 중국 조선족 등 다양한 개인 및 집단들의 관계, 중국 동북 농촌사회 및 풍경과 삶의 격변, 복합적인
정체성의 등장, 사회주의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 물결에 휩쓸리는 노마드 군상 등 다양한 주제들을 세련된 한글로 형상화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 작가들은
디아스포라로서 자신이 처한 시대와 환경에 따라, 스스로의 모습과 느낌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