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 경제협력 행위자의 거버넌스 역동성 연구 : 근거이론 기반의 개성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개성공단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지만 예기치 못했던 많은 난관에 놓이게 된다. 체제안위 우선의 무소불위 권한을 행하는 총국, 근로의욕 없는 수동적인 북한 근로자, 남북 간의 정치적 갈등 등이 불거지게 된다. 기업들은 고군분투하며 상황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였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인센티브 제도를 확산시키고 존중과 베려의
리더십으로 북한 근로자의 마음을 열고 총국과는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총국의 참사들은 일방적으로 임금의 대폭 인상, 과세율 상향, 값비싸고 품질 낮은 북한 식자재 사용 강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개성공단에서 달러벌이 충성경쟁을 펼쳤다. 남북 당국 간의 대립, 기업들과 총국의 불협화음, 북한 근로자의 태업 등 다양한 갈등이 개성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