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오체르크 장르군에 속했던 ‘현지보고/현지보도’나 1인칭 이야기인 ‘수기’ 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북한에서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실화문학은 역사적으로 사회주의권 장르인 오체르크의 일부 특성을 계승하면서 본질적으로 허구적인 서사형식과 비허구적인 사실내용의 이입/ 교환을 통해,
반-
사실주의(
半-
寫實主義, semi-realism)로서 북한의 ‘민족적 영웅’들이 구축해가는 ‘역사적 진실’을 구성하여왔다. 이러한 국가적 문화이데올로기 형상화 구조가 주체문학의 교육교양을 통해 ‘주체’사상과 ‘조선민족제일주의’사상의 완성으로 귀착되어가는 북한의독특한 인식방법론이 되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