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③ 자유토론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이 지난 2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및 연구자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진보·보수·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22명이 참석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청년통일축제UniKoreaFestival] 뮤지컬 '그날, 우리는' (🎉스타벅스 쿠폰 300명 증정 댓글 이벤트 진행중. 영상 설명 및 고정댓글 참고하세요🎉)
...한반도미래연구원·통일교육사업단, 민주평통 교류·협력분과위원회
줄거리: 갑작스러운 통일을 이룩한 바로 직후. 충청도의 어느 시골 마을로 북한사람이 이사를 오게 된다. 한 동네에 살게 된 남한의 마을 사람들과 북한 사람은 서로의 문화 차이와 언어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점점 오해가 쌓여 가는데... 과연 남과 북의 사람들은 행복한 통일 한반도를 위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진정한 화합을 이룰 수 있을까? 통일준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통일염원뮤지컬이다.
🎉🎉🎉댓글 이벤트 진행합니다🎉🎉🎉
추첨을 통해 총 300명에게 스타벅스 커피쿠폰☕☕☕을 드립니다.
기간은 ⏱️⏱️⏱️11월15일까지⏱️⏱️⏱️이며(댓글...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트럼프 2기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
개회사 - 이영선 통일과나눔 이사장
모두발언 -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주제발표 - 전재성 서울대 교수
지정토론 -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성한 고려대학교 교수, 문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민태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전경주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자유토론 - 강원택 서울대 교수, 고유환 동국대 명예교수, 권은민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병로 서울대 교수, 김병연 서울대 석좌교수, 김성한 고려대학교 교수, 문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민태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소장,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지금 북한, 어떻게 볼 것인가’
...명예교수(전 통일연구원 원장)과 유호열 고려대 명예교수(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및 김병연 서울대 석좌교수(전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원장)가 주제발표를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원택 서울대 교수, 고유환 동국대 명예교수, 권은민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김갑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김병연 서울대 석좌교수,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진아 한국외국어대 교수, 유호열 고려대 명예교수,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보존기록소 소장,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이영선 통일과나눔재단 이사장, 이제훈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이종원 통일과나눔재단 상임이사, 이하원 조선일보 외교안보에디터, 이혜정 중앙대 교수, 장달중 서울대 명예교수, 전우택 연세대 교수,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② 지정토론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이 지난 2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및 연구자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진보·보수·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22명이 참석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뉴스] "北, 작년부터 가상자산 4조원 탈취"…캄보디아 기업 자금세탁 동원
한국·미국·일본 등 서방 11개국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한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이 22일 대북 제재 위반 사례를 다룬 두 번째 보고서를 냈다.
MSMT는 러시아의 제동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 산하 전문가패널이 지난해 4월 활동을 종료하자 대북제재 감시 기능 공백을 메꾸고자 같은 해 10월 출범했다.
[뉴스] 李대통령 "가능성 크지 않지만 北美 만나면 환영…대화가 출발점"(종합2보)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혹여라도 북미가 전격적으로 만날 수 있다면 전적으로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뉴스] 정동영 "북, 판문점 미화작업…북미 만남 가능성 대비 징후"(종합)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방한하는 것과 관련, "북미 정상이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 (만남을) 결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스] 北, 극초음속 '화성-11마' 시험발사한듯…韓방공망 무력화 의도
북한이 지난 22일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이달 초 공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평가가 나온다.
불규칙한 비행궤적으로 요격이 어려운 단거리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로 남한의 대공 방어망 무력화를 시도하는 한편,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뉴스] 국회 정보위, 내일 캄보디아 범죄·北당창건 행사 현안보고
국회 정보위원회는 22일 전체회의에서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현안 보고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정보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정원은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납치·감금 범죄 관련 상황에 대해 보고할 예정이다.
[정치/군사]
...이야기하자 그는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라며 귀국이 가입 신청을 했지만 계속되는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와 국제사회의 우려를 고려해 가입이 무산됐다고 말했다. _ 33p
2009년 어느 날 뉴욕 주재 유엔 북한대표부에서 외무성으로 긴급 전보가 날아왔다. 유엔 주재 사우디아라비아대사가 북한대표부를 찾아와 자기들이 북·미 회담을 중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는데, 빠른 시일 내에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기를 희망한다는 것과 모든 내용은 극비리에 진행되기를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_ 34p
나는 2022년 11월 러시아산 오를로프종 말 30마리를 실은 화물열차가 러시아의 하산역을 거쳐 북한으로 들어갔다는 뉴스를 듣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통일/남북관계]
...그치지 않고, 실현 가능한 틀 안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공동 번영을 도모하고자 하는 진지한 제안입니다.
이제는 그 누구의 패배도 아닌 모두의 승리를 위한 통일을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지도자 여러분의 혜안으로, 평화와 통합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 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p.12
남과 북의 경제 격차는 30:1이다. 남조선은 갑작스러운 흡수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 서서히 융합하는 과정을, 그러나 돌이킬 수 없는 통일의 과정을 합의해 나가라.
통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과업이다. 그러면 인민들도 안정할 것이다.
어느 누구도 할 수 없고, 오직 너만이 할 수 있다. 네가 만약 통일의 과업을 확실하게 만들어 나간다면, 너는...
[정치/군사]
.../>
이 책은 정책학자, 언론인, 문화기획자, 대북전략 연구자들에게
‘안보를 말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문화정치학의 필독서다.
----------------------------
“안보는 더 이상 탱크와 미사일의 숫자로 설명되지 않는다.”
『문화로 포장된 안보』는 군사와 외교의 차가운 언어로만 규정되어온 ‘안보’를, 문화와 감정, 언어와 서사의 세계로 확장해 새롭게 조명한다.
드라마 한 장면, 노래 한 구절, 뉴스의 단어 하나까지가 어떻게 국가 정체성과 대북정책을 재구성하는지를 치밀하게 분석한다.
기자이자 정치학자인...
[사회/문화]
...결합하는 사회를 상징하는 관계로요.
본래 가마는 서로 상극적인 물과 불이 만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위대한 발명품입니다. 하지만 북한이라는 사회는 구멍 나고 깨진 ‘끓일 수 없는 가마’와 같아요. 국가와 국민의 모순적인 관계와 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작가 인터뷰
탈북 전 이 원고를 믿을 만한 몇몇 사람들에게 보여주었더니 “정말 이 정도였냐”라며 놀라더라고요. 북한에서 평생 살아온 사람들마저 그렇게 반응하는데, 외부의 사람들은 얼마나 더 모르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바로 그 지점에서 이 원고를 반드시 세상에 알려야겠다는 마음이 생겼고요.
-작가 인터뷰
...
[사회/문화]
《K-팝, 두근거리는 통일의 멜로디》는 남과 북 청소년들의 문화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과 연결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K-팝, 드라마, 웹툰 같은 청소년 문화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국경을 잇는 다리가 되고, 서로의 삶을 비추는 거울이 됩니다.
남쪽의 자유로운 일상 속에서, 북쪽의 작은 방 안에서 같은 노래를 듣고 같은 장면에 웃고 우는 순간, 이미 통일은 마음에서 시작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거창한 정치가 아닌, 청소년들의 취향과 꿈 속에서 자라나는 ‘작은 통일’의 가능성을 따뜻하게 보여줍니다.
남쪽 청소년들의 하루는 스마트폰에서 시작해 스마트폰으로 끝난다. 손바닥만 한 화면 속에서 펼쳐지는 웹툰은 단순한 만화가 아니다...
[학술논문] 백석정 별서유적 및 백석동천 연원에 관한 연구
...Gang-sae-dong(姜世東) had his a small thatched cottage near this rock. Heo-pill(許佖) and his friends, Kang se-whang(姜世晃), Yi Yong-Hue(李用休) and Yim Hee-seong(任希聖) were scholars of Ma-min(南人) or so-book(小北) group who left out of practical politics to enjoy lonely life and made some excursion in this area. But the bower of Baeksukjeong(白石亭) was collapsed and later history of the site was not well known...
[학술논문] 우리나라 해양에서의 경찰작용의 근거와 국제법제
오늘날 연안국가를 포함하는 많은 국가들이 해양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해양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는 해양을 국가의 영토 개념으로 접근하는 시대라 할 만하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북에 북한이 있고 한반도가 강대국들의 틈에 놓여 있어 특유의 지리적이면서도 지정학적인 상황에 있는 곳이 한국이다. 우리나라는 해양의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파악과 그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해양에서의 안보, 주권수호, 및 해상안전을 위해 유효적절한 해양에서의 경찰작용이 있어야 한다. 해양에서의 경찰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국제정세에 비추어 보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지난 세월호 사건에서 해양경찰은 초기 구조 등 잘못으로 인해 많은 지탄을 받은 바 있으나...
[학술논문] 탈북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 학습 인식에 대한 조사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수학교육 지원 방안 설립과 구체적 실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탈북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태도, 남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학생 자신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탈북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남한의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 지표로 나타났으며, 남한에서 자신의 수학 학습 성취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탈북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의 모습, 수학 학습 성취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원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탈북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이 한국 정착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북한이탈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면접 자료는 Giorgi의 4단계에 따라 분석되었다. 심층면접의 분석 결과에 따라, 4개의 구성요소와 2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경험은 크게 ‘탈북의 배경과 탈북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진입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정착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같이 나뉜다. 한국에 있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경험에 대해 밝힘으로써,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술논문] 북한의 지대지 탄도 미사일개발 착수에 관한 연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이를 역설계하는 방식으로 독자적인 지대지 미사일 개발을 위한 능력을 축적했다. 북한은 1984년스커드-A 개량형 미사일을 독자 생산해 시험 발사했고, 1985년 스커드-B 모방형 미사일 독자 개발에 성공했으며, 1989년께 남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스커드-C 유사형 미사일을 개발했다. 북한은 중·소 갈등 및 북·소 갈등을 겪으며 이른바 ‘방기’의 위협을 느껴 ‘경제-국방 병진노선’을 추진하는 가운데 박정희 정부가 1970년대 추진한 핵·미사일 개발로 인해 위협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북한의 스커드-B 미사일 모방개발은 성공 여부의 불투명성 때문에 최고지도자인 김일성 주석보다 당시 후계자였던 김정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