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 초기 북한의 소련 음악 수용에 대한 연구 - 서양음악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음악학자인 아사페브의 음악론을 수용했다. 다만, 북한은 아사페브의 주요 이 론, 즉 억양론이나 심포니즘 등을 수용하기는 했지만 아사페브 및 소련의 음악학적 성과와 사고에는 사실상 무 관심했고, 실제 음악의 연주와 창작에 유용한데 한하여 부분적 용어과 개념을 사용했을 뿐이고, 대부분의 경우 소련 음악가들이 참고하는 음악 분석 이론을 우선적으로 주목했다.
북한에서는
조선노동당과 정부의 지도 그리고 작곡가동맹 3자의 적극적인 노력 하에 서양음악을 수용했기 때문에 소련의 강력한 지원을 얻어낼 수 있었고, 그 결과 10여 년 정도의 짧은 기간 내에 상당한 성과를 거둬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종파사건 이후로 북한의 국내 정치 상황에 변화가 생겼고 또 흐루쇼프가 미국과 소통하 면서, 북한이 전 사회적 역량을 동원해 전면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