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탈냉전기 북한 대미전략 변화의 다차원적 요인 분석
...검증하였다. 첫째, 체제
위협의 높고 낮음을 평가하기 위해 ‘정치
사회적 불안정․경제적 수준․외부적
위협’이란 지표를 설정하였고, 각 지표별 측정항목으로는 ① 정치
사회적 불안정의 측정항목은 ‘권력승계 및 지도부의 교체로 인한 권력구조의 변화, 국가통제 기능의 약화,
사회적 계층 분화, 대량 탈북자 발생’ 등을 설정하였고, ② 경제적 수준의 측정항목은 ‘경제성장율, 식량수급실태, 공장 및 생산시설 가동, 대외무역 현황’ 등을 설정하였으며, ③ 외부적
위협의 측정항목은 ‘국제 및 동북아 질서의 변화, 관련국의 정치․경제적 압박, 동맹국의 공약 약화’ 등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각 지표별 측정항목에 입각해, 체제
위협이 높으면 갈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