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넷플릭스 콘텐츠에 나타난 ‘북한’ 표상 연구
...괴담’ 에피소드가 보여주는 것처럼, 과거 냉전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재현된 북한 표상은 절대적인 ‘악’의 실체를 환기시키며 남한 사회 모순을 은폐하는 장치로 기능했다. 반면 최근 전 세계적인 흥행에 성공하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들에서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북한 표상이 재현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첫째, ‘
서사적
공백’ 지점으로서 새로운 스테레오 타입화 경향이 나타난다. 둘째, 기존의 주류적인 젠더 역할을 전도 시키는 새로운 여성 캐릭터가 등장한다. 셋 째, ‘난민’으로서의 남북한 소수자 간의 연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경향들은 현재 북한에 대한 전 세계 대중들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향후 한반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