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여성 및 인권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론 고찰
본 연구는 후기
식민주의 페미니즘 이론에 기반해 북한 여성 및 인권 연구를 위한 방법론 전반을 10년 이상의 시간 동안 저자들이 각각 북한에서, 또 남한 사회에서 연 구자와 인권 운동가, 또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참여 관찰자적 위치로 경험한 내용과 인 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특정 계층의 사람들을 대변한다고 주장 하는 여러 주체들을 통해서도 목소리를 낼 수 없는, 거대담론의 대안적 개념보다 더 하위에 있는 개념인 서발턴(Subaltern), 정상성과 비정상성을 나누는 제국주의적 시각, 푸코(Foucault)의 권력/지식 개념을 통해 어떻게 북한 인권과 여성 연구에서 여러 목소 리가 소외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북한 인권 담론과 그 안의 각기 다른 세 영역(북한 인 권 보고서, 북한 인권 운동,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