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문예리론』(1975)에, 1990년대 이후는 『주체문학론』(1992)에 근거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 이론 단원에서 나타나는 문학 용어 및 수록 내용의 변화, 문학사 단원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와 발해 문학의 강조, 후기신라에 대한 언급, 시조 문학에 대한 자세한 수록, 실학파 문학의 우수성 인정, 비판적사실주의문학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 계몽기 문학사의 수록, 김정일 친필
활동에 대한 기술 등의 변화는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 변화,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에서 『주체문학론』으로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1997년 개편된 『문학』 교과서에는 새롭게 47편의 작품이 수록되는데, 서정서사갈래의 작품 5편을 추가하여 『국어문학』 교과서보다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균형 있게 수록하려는 노력이 나타났으며, 고대중세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