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민족문학과 한국어문학의 개념 그리고 민족의 관계양상
...애국계몽운동가들은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단일민족 이데올로기를 내세웠다. 우리 민족은 1860년대로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 이주하여 중국, 중앙아시아,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 70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한국문학, 북한문학, 해외 한인문학은 한민족의 삶과 애환을 형상화하고 있는 점에서 한민족문학으로 묶일 수 있다. 한글문학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대한제국의
언어
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교에서 한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고 공적 영역에서 한글문체 사용의 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춘원은 한글문학장의 형성에 큰 역할을 했고, 국내외 신문과 잡지 혹은 단행본 발행을 통해 한글문학장이 순조롭게 전개되었다. 그런데 본격적인 전시 체제에 들어가면서 한글과 한국사 교육을 금지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민족어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험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