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과학]
...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포스트 차이나로 진출한 베트남, 인도와 비교해 북한의 인건비와 기술력이 월등히 좋아 생산기지로서 매력도가 높다. 특히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탁월하다.
*
김정은 정권은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체제를 보장받고 위기의 북한 경제를 돌파해 새로운 경제 개발에 나설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핵 동결-축소-폐기’의 3단계 비핵화 구상을 제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북한과 타결한다면 한반도 평화 체제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 과거 어느 때보다 북한 개방의 길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 그 길을 통해 한국 기업이 북한이라는 새로운 시장에 진출한다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문화]
.../>
탈북 전 이 원고를 믿을 만한 몇몇 사람들에게 보여주었더니 “정말 이 정도였냐”라며 놀라더라고요. 북한에서 평생 살아온 사람들마저 그렇게 반응하는데, 외부의 사람들은 얼마나 더 모르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바로 그 지점에서 이 원고를 반드시 세상에 알려야겠다는 마음이 생겼고요.
-작가 인터뷰
북한 문제는 결코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점과 같은 언어를 쓰고 같은 역사를 함께 해 온 우리 민족의 이야기라는 점을 꼭 기억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나아가 그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인권 개선에 작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한민족으로서 서로를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이 그런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작가 인터뷰
[통일/남북관계]
...시기 남북 언어정책의 전사를 서술하였다. 2부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이 끝날 때까지 남북이 일제강점기 민족어운동의 성과를 이어받으며, 각자의 체제와 이념으로 어떻게 국어 재건 계획을 구체화하였는지 서술하였다. 3부에서는 휴전을 전후한 1950년대 시기부터 1960년대까지이다. 남북의 권력자가 권력 기반을 구축하면서 국가의 책임과 역할로 언어정책이 변화하는 양상을 서술하였다. 4부에서는 한글전용정책과 문화어수립정책을 중심으로 남북 언어정책의 전개 과정을 서술하여, 언어정책이 분단체제를 강화하는데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서술하였다. 5부에서는 남한의 ‘국어순화’, 북한의 ‘말다듬기’ 등의 언어정책이 어떻게 정치적으로 활용되었는지와 언어정책 환경과 언어 현실의 변화...
[사회/문화]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 곽상인 교수님과 북한 출신 주민들이 겪는 희로애락을 직접 경험한 연구자이자, 학문 탐구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사회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열정적인 연구자로서, 이들의 삶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며 보다 생생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 지일 연구자와 함께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 사회 성소수자 관련 이슈에 주목하였습니다. ‘일상생활’이라는 익숙하고도 낯선 단어를 북한 이주민들과 엮어볼 때 어떠한 방식으로 풀어낼지에 관한 고민과 숙의의 과정에서, 그들의 일상 그대로를 생생한 언어로 구술하는 일이 보다 쉽게 독자들이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 판단했습니다. 그 숙고의 여정 안에서, 연구자는 ‘성소수자’라는...
[법/인권]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 곽상인 교수님, 북한 출신 주민들이 겪는 희로애락을 직접 경험한 연구자이자, 학문 탐구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열정적인 연구자로서, 이들 삶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자기 경험과 비교하며 보다 생생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지일 연구자와 함께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 출신 청소년들이 지닌 혼란, 꿈과 성장에 주목하였습니다. ‘일상생활’이라는 익숙하고도 낯선 단어를 북한이주민들과 엮어볼 때 어떠한 방식으로 풀어낼지에 관한 고민과 숙의의 과정에서, 그들의 일상 그대로를 생생한 언어로 구술하는 일이 더욱 쉽게 독자들이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 판단했습니다. 그 숙고의 여정 안에서, 연구자는 ‘혼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응 실태와 교육 방안 연구 - 대구지역 정착민을 대상으로 -
This paper has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observe the actual language problem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other is to propose an education scheme. Since 2000,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settling down in South Korea increased greatly, resulting in the continued research of their various language problems. This paper studies the North Korean refugees’ language problems from three
[학술논문]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 차별기능문항 분석
...방법과 MantelHaenszel(MH) 방법으로 다문화·탈북가정 학생들에 대한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한 결과, 초·중·고등 세 학교급에서 8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탈북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와 특성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또한 추출된 각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한 잠재적인 원인을 탐색한 결과 언어 능력, 계산 및 문제 해결 과정의 복잡성, 교육과정의 일치 여부, 문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문화·탈북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The Analysis of the Role of Mongolia among the Korea, Mongol, North Korean Sociocultural Relationship
... 및 결혼 이주를 단순 Migration 으로 간주하지 말고 한국과 몽골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회경제적 교류로 평가하여야 한다. 다행이 한국 법무부의 전향적인 정책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한반도의 남북한 문제를 몽골은 동시 수교국가로서 특별히 사회문화교류에 주도적 역할을 분석한다. 분야별로는 학문 분야에서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하여 몽골이 남북한의 학자들과 같이 정기적인 심포지엄을 주도할 수 있는 역할의 기대치를 분석한다. 언어 연구에서도 역시 몽골은 남북한 학자들과의 공동연구를 주도하여 남북한 학술교류에서 중간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종교에 있어서 라마교에 대한 공동 학술연구, 아울러 예술 분야에서의 몽골, 한국, 북한의 교류, 스포츠 분야에 있어서 레슬링과 태권도등의 공통분모가 있는...
[학술논문]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과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5종이며,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에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1종이었다. 발간 권수만으로도 양국 간의 수교 이후 한국문학사 집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로 명칭 문제, 남북한 문학의 포함 문제, 관점에 관한 문제, 시대구분과 그 명칭 문제, 언어 선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한·중 양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술논문] 비판적 법담론과 프레이밍 분석을 통한 통일교육의 재구성 논의
...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헌법과 법률에서 강조된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 ‘민족’ 등의 가치어는 하위 규범(시행령·지침)으로 내려가며 행정·성과 중심 언어로 재맥락화되어 중앙 통제와 평가 장치를 정교화하였고, 2022 개정 사회·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상위 규범이 ‘통일 감수성’, ‘민족동질성’, ‘미래 국토(균형 발전)’ 등으로 번역되어 학습목표와 성취기준을 구성함으로써 학생을 ‘통일 실천 주체’로 호명하고 주입을 정당화하였다. 그 결과 규범 사슬 전반은 국가→시민의 권력 위계를 공고화하는 동시에 북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