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사)의 세계 시간과 지금·여기의 문화연구 -2010년대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이데올로기적으로는 국민국가 비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후반 뒤늦게 시동이 걸린 한국문학 발 냉전문화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경향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일본 제국의 붕괴와 냉전/열전으로 인한 이동, 즉 탈식민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 둘째, ‘문화적 전환’의 한 속성이기도 한 지식·학술과 결합한
역사
주의적이고 맥락주의적인 냉전문화 연구, 셋째, 통치성 및 대중문화와 결합한 새로운 경향의 냉전문화 연구가 그것이다. 한국의 ‘탈식민’ 시기가 정확히 폭력적인 국민국가 형성기와 맞물려 있었던 까닭에, 국민국가 비판을 동력으로 한 그동안의 냉전문화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관점에서는 탈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