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과 북한에서 제작된 윤용규 감독 영화에 대한 비교 연구 - <마음의 고향>(1949), <소년빨찌산>(1951)을 중심으로 -
...제시하고 있으며 소품, 공간 등을 통해 그러한 요소들을 강화한다. 단, 해방 직후부터 6․25전쟁 시기까지 각 이데올로기가 대립을 벌이는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는 것을 고려해본다면, 윤용규가 마음의 고향을 통해 정치적인 색채를 지우고 있다는 것 역시 또 다른 하나의 정치적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다. 두 작품은 차이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해방’과 ‘전쟁’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이 각 영화를 관통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론적인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것은 곧 ‘소년’과 ‘어머니’라는 인물의 형상화와 그들의 관계 설정, 그리고 다양한
이미지의
재현 방식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