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시에 나타난 시쓰기의 역할과 의미
...과정이었다. 현재와 미래를 지향하는 사회적 자아, 과거에서 찾아지는 개인적 자아에 대한 성찰, 고통의 토로와 응시를 통해 그들은 스스로를 치유하고 스스로의 모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탈북시는 북한의 현실을 증언하고 고발한다는 소명의식과 사회적 책무감에서 쓰여진 시들이 많은데 참혹한 현실과 함께 북한에 대한 비판 그리고 그 안에도 존엄한
인간이 있다는 ‘
인간
선언’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고통스러운 탈북 과정에 대한 토로와 낯선 곳에 이식된 자신에 대한 응시 또한 탈북시의 중요한 주제이다. 두고 온 가족에 대한 죄책감과 그리움, 자존감 회복, 새로운 정체성 찾기와 적응이라는 중압감이 드러나 있었고 여기에 탈북 당사자뿐 아니라 1.5세대 2 세대의 트라우마도 표출되고 있었다. 또 고향, 자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