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서비스 갭(service gap)의 내적 요인으로서 장애인식과 태도: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명의 대상으로 보고 있었다. 남한주민과의 비교연구를 위해(북한이탈주민 109명, 남한주민 124명), 집단별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정적 태도, 긍정적 행동의도의 상관관계, 집단 간 차이, 집단별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주민에 비해 신체 및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신체장애보다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낮았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장애에 대한 인식, 긍정적 행동의도는 남한주민에 비해 낮았지만, 장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더 높았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은 장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 중
접촉
시
긴장과 왜곡된 동일
시가, 남한주민의 경우
접촉
시
긴장과 타 기능 제한요인이 장애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