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 -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선족 정주의 역사, 자생력과
문화적 자부심이 나타나 있지만, 신판에서 조선족이 중국으로 귀속된 역사는 명확히 드러나 있지만 한반도로부터의 이동과 정착의 양상 등이 추상적으로 나타나 있다. ‘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에는
조선민족
문화의 역사성을 해방 이전의 문학, 민족
문화 등을 통해 드러내며,
조선민족
문화의 공유 양상을 해방 이후 북한 및 한국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구판에서는 반제·반봉건 지향의 사회주의 이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해방 이전의
조선민족
문화를 수용하며,
조선
민족의
문화를 가치 있는 것으로 표상했지만, 신판에서는 해방 이전의 작품이 대거 축소되었으며 가치보다는 지식의 차원에서
조선
민족의
문화가 다루어지고 있다. 구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