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일성 시대 사회 통제: 탈북자 증언을 중심으로
...수준에서 강조되는 것이 스탈린주의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데, 북한 또한 김일성의 등장 초기부터 이 경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사회 통제에 더하여 체제 근간인당원들에 대한 당원 통제가 존재했다. 특별히 당내 통제에 있어서, 일반 인민들과는 다른 보상적(특권 계급) 성격과 처벌적 성격이 추가된다. 그러나 1958년 김일성은 내부 권력 투쟁(“
종파투쟁”)을 거치면서, 스탈린의 “당 중앙” 영도론을 “수령론”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수령론”과 “당 중앙 영도론”의 본질적 차이는 후계 문제, 즉 권력 세습 여부이다. 권력집중의 직위적 보장(당 중앙)이 개인적 수준으로특정되고(스탈린주의), 다시 세습(수령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