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와 혐오의 시대, 성평등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모색
... 영향이기도 하다. 한편 남북관계를 표상하는 상징체계로서 젠더는 적극적으로 동원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논의되는 한반도의 평화 담론은 몰성적이다. 남성화된 군사 및 국가 중심의 평화 논의는 여성의 개입을 제약한다. 그리고 최근의 주요 평화 담론의 내용인 평화경제론은 남북한 사회 내, 남북한 사회 간 성별 격차 이슈, 여성노동권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성평등한 한반도의 평화는 평화 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구성, 공감과
공존에 대한 사유의 확장, 남북한 여성 연대의 도모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