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 민족주의로서 화쟁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
...한반도 민족주의는 서구의 보편성보다는 한반도의 특수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통일
민족
주의는 이러한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민족주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민족주의는 가변성을 지닌 2차 이데올로기로서 대외적 침략주의나 대내적 억압의 수단으로 활용되어온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일성 패러다임을 화쟁사상의 차이와 연기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이를 민족주의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남한과 북한은 민족≠국민인 국민국가이자 결손국가로서 민족주의의 국가주의화 즉 분단국가주의를 추구해왔다. 화쟁 민족주의는 이와 같은 분단 민족주의를 극복하는
통일
민족
주의이다.
통일
민족
주의로서 화쟁 민족주의는 민족=국가로 만들어 나가는, 차단된 민족적 리비도를 부활시키고 분단인을 통일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