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조광희 피리 삼현육각 음악 분석 연구 -1952년 평양 조선레코드 피리독주 음반을 중심으로-
...솔-라-도‘-레’-미’이며 농음의 위치는 ‘솔’과 ‘도’에서 나타난다. 조광희 피리독주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일정한 짧은 악구를 반복, 변주하여 선율을 파생하는 방식이다. 이는 한반도 삼현육각 음악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으로, 기능 음악으로서의 면모를 간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 군영악대의 악기
편성인 삼현육각은 행진과 거상, 춤, 노래 반주 등 잔치 음악을 두루 담당했던 기능성 악대였기 때문에, 연주자들은 시시각각 바뀌는 현장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한 짧은 선율을 변주, 반복하는 선율 운용법을 사용하였다. 기본 악구의 시김새나 리듬을 바꾸며 반복하거나, 종지 악구를 불규칙한 개수의 장단에서 등장시켜 선율 반복이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인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