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상 국제평화주의에 대한 현대적 해석 - 통일헌법의 기본방향으로서 평화헌법을 중심으로 -
한반도 통일의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통일의 준비, 통일을 위한 협상의 과정, 그리고 통일 이후 실질적인 통합에 관한 내용이 그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본 연구는 통일헌법의 내용으로서 평화헌법을 그 기본방향으로 하므로 통일 이후의 실질적 통합에 관한 연구라 할 것이다. 한반도의 통일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통일헌법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존재하며, 이는 독일 통일의 영향이 컸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많은 연구가 통치구조의 구상에 치우쳐져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리고 통일헌법의 기본방향으로서 평화헌법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인권보장, 삶의 질 향상 및 실질적 통일의 의미로서의 사회통합과 문화국가의 실현과 맞닿아 있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