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 조사 결과,
학습 또는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89.4%) 입시 및 진학정보 제공(86.1%) 봉사활동 기회 제공(84.1) 직업교육 훈련(83.4%) 등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부분들이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법제도적 개선방안으로 비보호 북한이탈청소년에 대한 학교 의무화 교육 추진,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특화 교육: 하나원 과정 위탁 교육, 북한이탈청소년에게 적합한 경제적 지원, 정부 부처별 역할 분담 및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거버넌스 구축등을 제안하고, 맞춤형 사업 프로그램으로
학습역량 강화 지원, 심리/정서적 안녕을 위한 상담과 치유 프로그램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