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협상 행태와 ‘결의 평판(Reputation for Resolve)’ 구축 연구
...지속성, 확산성 세 독립변인을 개념화했다. 1, 2차 핵실험과 은하 3호 발사, ICBM 화성 14, 15형 발사 등을 분석 대상으로 각 도발이 미 국무부 브리핑에서 어느 정도 주목받았는지, 얼마나 오랫동안 이슈화됐는지 또 국제사회의 어떤 외교적 대응을 불렀는지를 통해 북한이 얻은 평판을 측정해보았다. 이슈 주목성에선 1차 핵실험과 첫 ICBM 화성 14형 발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지속성은 큰 편차 없이 북한의 도발이 상시적인 이슈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성의 경우 북한의
핵
무력
완성이 임박할수록 국제사회 다자 대응 점수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주요 도발은 다양한 수준의 북핵 협상 개시로 이어져 북한 평판 전략의 유효성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