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중 문화교류 사상의 특징과 한반도 평화체제를 향한 시사점 일고 -중국 예술단의 경우-
...가지는 그 가운데서 집중적으로 검토한 부분이다. 첫째, 핵실험을 전후하여 소원한 관계 속에서 정치적 교류 및 상호 방문이 실종 되었지만 문예교류는 중단 없이 진행되었는가. 둘째, 핵실험을 전후 문화예술 교류는 어린이, 청소년 문예교류 등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셋째, 출판, 언론 분야의 문화교류가 중단 없이 진행되고 있는가. 넷째, 사회주의,
혁명적
낭만주의 문예사상이 교류의 핵심 고리인데 이 부분에 수정이 가해지고 있는가. 다섯째, 반봉건 및 반제국주의 사상을 내포하고 있는 일부 고전 작품으로 수정주의를 비판하면서 전통적 우의 및 교류를 특화해왔는데 이 부분에 수정이 가해졌는가. 연구 범위와 관련하여, 김정은 체제 출범 후 빈번해지고 있는 고위층 간 교류 및 그 일환으로 전개되는 문예교류 성격 변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