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형면과 수문지질단위 분류를 이용한 북한의 지하수 부존량 추정
...preliminary data on preparation for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groundwater supply scheme for N. Korea vulnerable to drought. Agricultural activities oriented to upland field due to the mountainous terrain more than 79% as well as the diversity of rainfall distribution over the country make more vulnerabl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e drought in N. Korea. Therefore, in anticipation of the expansion...
[학위논문] 중조 국경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border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but also the border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f so, how? How are the three countries connected and intersected in border trades in Dandong? What kind of terrain of mutual relations between the four groups would form with the border as the medium? These questions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ate policies of the three countries...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지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상호 작용을 통해 영향을 끼치면서 종교지형을 변화시켜 왔었다. 향후 종교지형의 변화는 종교내적 요인으로서는 전교적 요인과 종교외적 요인으로서는 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factors of change of religious topography(terrain) of North Korea,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ligious structure, analyzes the main factors of change of the religious landscape within the regime, and then argues how the factors...
[학술논문] 거시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풍력자원 비교평가
...cooperation. To this end, the Korea wind resource map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in which its accuracy has been validated, was used. The onshore wind resource was analyzed by the terrain elevation category, while the offshore wind resource was analyzed by the water depth and distance to shore categories. North Korea was found to have a five times larger feasible onshore area, where...
[학술논문] 부대 유형과 북한지역 취사여건을 고려한 전시 전투식량 소요 산정논리 연구
전투식량은 많은 불확실한 마찰요소가 있는 전시에 중요한 작전지속지원 요소이다. 전투식량의 이점 중 필요한 열량과 영양을 충족하면서도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든 조리 없이 취식 가능하다는 점은 전장 상황에 매우 큰 장점이다. 특히, 물, 식자재 등 취사 자원이 부족하고 험준한 산지 지형이 대다수인 북한지역에서 전투식량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제한사항으로 모든 전투원은 전투식량을 취식할 수 없다. 전투식량은 특정 상황의 부대 유형이 취식해야 하는데, 이 부대를 선정하는 기준을 정립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는 정립되지 않았던 전투식량 소요 제기를 각 부대들이 어떤 기준에서 마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부대 유형과 북한지역 취사여건을 고려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관련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