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Potential Radiation Contamination Risk Associated with the Punggye-ri Nuclear Site in North Korea: Human Rights Shortcomings and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abnormalities, raising the possibility of severe impact from radiation exposure. The United Nations (UN)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promoting climate and human rights norms, intended to induce policymaking that is more supportive of both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Furthermore, the UN and related agencies have perhaps been the only forces to provide humanitarian aid for the disaster-affected...
[학술논문] 남북한 관개체계 및 농업용 흙수로의 규격 비교 연구
The Korean Peninsula faces significant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s in precipitation, and the irregularity of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poses a growing challenge for water management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In response, the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distinct irrigation approaches shaped by differing institutional and technical conditions.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학술논문] 공간분포모델을 활용한 사료작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의 재배적지 변동예측연구
우리나라에서의 사료작물 생산면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미래의 기후조건에서 최적 재배 가능 지역을 중심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같은 사료작물의 생산체계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한반도를 대상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 가능지역을 파악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한 정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후자료를 기반으로 작물의 재배적합도를 예측하는 EcoCrop 모델을 사용하여 현재(1950~2000), 2020년대(2010~2039), 2050년대(2040~2069), 2080년대(2070~2099)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 가능지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구기후모델인 CCCMA, CSIRO, UKMO-HadCM3,UKMO-HadGEM1, 그리고 NCAR 모델 등으로부터 얻어진 규모축소
[학술논문] 중국의 민족정풍운동과 조선족의 북한으로의 이주
...manpower by way of the Chollima Movement, a mass mobilization movement and repatriation project of overseas Koreans. Under such circumstances,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the climate of nationalism experienced an upsurge within North Korea. North Korea was forcing, not only the returned overseas Koreans, but also the Korean-Chinese minorities of China to select a singular nation...
[학술논문] 북한에서의 REDD+ 사업을 위한 산림황폐화 및 탄소저장량 평가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 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황폐화 방지와 온실가스 감축을 목 표로 한 REDD+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북한 황해북도에서 10,000 ha를 대상지에 대해 다 중시기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산림 황 폐화는 계속 심해져, 1989년 7,035 ha로부터 2013년 4,293 ha로 약 39%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산림 탄소축적량은 약 284,399 tCO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 준선을 설정하고 REDD+ 사업에 의한 산림탄소 감소방지 량 (온실가스배출감축량)을 분석한 결과 약 364,704 tCO2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한계점과 단위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