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한 국가의 권위를 세우는 데 핵심적 구실을 했던 것은 설화 중,
신화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선택한 이들 이야기들은
신화적 지향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신화로 인정하게 되면, 전적으로 ‘꾸며낸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확실한 유형의 증거물을 가지고 있는 전설로 다루고 있을 뿐, 전설을 통해서 얻고자 했던 것은
신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입지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연물을 숭배하도록 하고,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권력자를 숭배하도록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신화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구비문학 장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다. 고대
건국
신화,
신화의 양식을 가지고 있는 lt;용비어천가gt;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