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사회화 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수원국 및 공여국의 역사를 함께 지닌 한국의 경험이 통일의 대상이자 오래된 빈곤국가인 북한의 개발협력 과정에서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라는 물음은 남북한 경제공동체 추진에 앞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1995년 8월, 북한 당국은 만성적 식량 부족 현상과 함께 ‘큰물’ 피해를 겪게 되면서 UN인도지원국(UNDHA)에
긴급
구호를 요청하였다. 공식적인 경로를 통한 첫 원조 요청으로 북한은 개발협력이라는 국제무대에 수원국의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2005년 말에는 일회성 지원에서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의 형태로, 원조 방식의 전환을 국제사회에 요청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2006년 10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최초의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 2017년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진행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