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기후변화와 북한인권: 실태 및 협력방안 -SDGs 매개의 남북인권협력 관점에서-
...있었다.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북한이 기후문제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인권 보호‧증진에 취약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셋째, 북한은 재해방지 및 구조‧복구법, 환경보호법,
산림법, 재생에네르기법 등 기후 관련 법규들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기후대응에 취약하다. 넷째, 기후문제는 비단 북한과 북한주민에게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비무장지대의 경계를 넘어 남한과 남한주민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물 문제는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저해하고 남북한주민의 평화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남북공동대응을 통해 기후문제가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 남북한주민의 인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경감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의 강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발전권, 평화권과 연계함으로써 남북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