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민속춤의 시기별 변화와 특징-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시기로 돌입하였고, 민속춤의 발굴 및 정리를 하였다. 1950~60년대는 혁명적 공산주의 수립 시기로, 북한의 민속춤은 노동, 세태생활 및 풍습, 전투를 소재로 한 사회주의를 강조하였다. 이때, 무대화로 인한 인원, 음악을 축소하고, 춤내용과 춤사위가 변화했다. 1970~80년대는 주체사상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이다. 민속적 요소로 무용소품을 창작하는데,
민요, 소품 활용 등을 통한 노동계급성, 인민성을 고취하였다. 1990년대는 김정일의 사회주의 주체이론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극 형식으로 민속무용조곡을 창작하는데, 민족적 형식을 사회주의 내용과 결합하여 강조하였다. 2000년대부터는 전통을 기반으로 한 민속춤의 현대화를 이룩하며, 김정은의 전통성 재추구로 인해 새로운 구성의 민속춤을 창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