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여성의 트라우마가 하나님 표상에 미치는 영향
...자신이 속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족 등 다양한 체계와 의미의 연결망 안에서 상호주관적인 존재로 살아가듯, 인간의 고통인
트라우마 역시 그 체계의 연결망 안에서 발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체제 폭력생태체계모델에 근거하여 탈북여성의 삶의 경험이 지속적인 폭력 경험, 반복적인
트라우마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폭력에 내몰렸던
트라우마 경험이 탈북여성들의 자기(self)를 어떻게 손상했는지, 왜곡된 자기표상, 대상표상, 하나님 표상, 대인관계 표상 등 손상된 자기구조가 현재 그녀들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복합
트라우마와 자기 손상이론으로 설명하려고 하였다. 특히 자기 손상이 그녀들의 신앙여정에서 하나님 표상과 하나님과의 관계, 신앙체계와 공동체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