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이주노동자가 나타나는 에스닉노동·제노포비아서사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의 성숙을 그린 다문화성장서사 등 다채로운 서사구조를 지님으로써 소설지형을 넓히고 있다. 둘째, 갈등양상에있어서는, 자국민과 이주자의
시선이 교착되고 있다. 자국민은 이주자에대해 차별적·배제적·폭력적인 태도를 지녔고, 풍문으로 전달된 사실로 판단하고 왜곡하며 자의적·주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이주자 역시 자국민의 배타적 민족의식, 이중적 잣대, 계급주의적 태도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이러한 갈등은 사회적 불화를 야기하며 타국의 관습, 언어, 음식, 의상 등을 조롱하고 멸시함으로써 문화혼종성을 수용하지 않거나 문화평등주의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이주자 정체성은 타자이자 주변부,...